TESTWEB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폰트크기변경 색상반전보기
톺아보기 추천글
커뮤니티 C 모두의광장 F 모두의공원 I 사진게시판 Q 아무거나질문 D 정보와자료 N 새로운소식 T 유용한사이트 P 자료실 E 강좌/사용기 L 팁과강좌 U 사용기 · 체험단사용기 W 사고팔고 J 알뜰구매 S 회원중고장터 B 직접홍보 · 보험상담실 H 크롤링테스트홈
공지잠시후(19일 0시) 서버 점검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더보기
l

팁과강좌

기타 울릉도 특산물 팁 - 호박 - 10

6
어쌔신크리드
15,864
2023-05-30 00:45:22 59.♡.99.231

별 큰 이유는 없지만 울릉도 특산물 명이 나물 이후로 아무것도 안썼길래 하나 써보는 어쌔신크리드입니다.

오늘은 호박엿에 대해서 써볼까 합니다. 


울릉도 하면 많은 사람들이 독도, 오징어, 호박엿 이렇게 기억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울릉도를 차량관광하다 보면 호박 밭을 볼 수도 있고요

겨울철이나 이른 봄에는 현포위 호박 엿 공장에서 수매한 호박을 주차장에  진열 잠시 보관 해놓은 것을 보실 수 있을겁니다.

이런 모습을 보고 나면 울릉도는 호박이 많이 자라구나 그래서 엿을 많이 만들 수 있었구나

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의 잘못된 정보의 온상 나무위키에서는 울릉도 사람들이 후박엿을 먹는데 그게 잘못펴저서 호박엿으로 알려졌다

이란 정보를 볼 수가 있는데 제대로된 역사는 아닙니다.


일단 알고 가셔야 할것은 울릉도가 왜 어째서 호박엿이 유명해졌는지는 100% 확신할 수 있는 소스가 없습니다.

즉, 여러 썰들이 있다 뿐입니다. 즉 제가 볼때 인터넷 여러 유튜버나 블로거들이 개 쌉소리 하네 라고 이글을 적는 것처럼

그들 또한 저를 저새끼 울릉도에 산다고 개 쌉소리 하네 라고 생각할 수도 있고, 싸우자고 하면 님말이 맞습니다. ㅇㅇ


나무위키 출신 정보인지 아니면 어디서 계속 누가 주장해서 나무위키에 올라가있는건지 모르겠지만

적어도 이 글을 보신 크롤링테스트 분들이라면 "후박엿이 호박엿이 되었다" 100%맞는 정보가 아니다 라고 알고 계시면 좋겠습니다. 

제 개인적으로 조사하고 앞뒤관계를 맞춰보고 현실성있는 출처를 바탕으로 정리하면 한 0.1%맞는 정보라고 생각합니다. 

즉, Dog소리 중에 Dog쌉소리


울릉도에 호박을 먼저 키워서 호박엿이 시작되었다라는 썰이 있습니다.

근데 이것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릴 수 있는게

호박 자체는 조선에 전래된 것이 임진왜란 후로 알려져 있습니다. 충분히 울릉도까지 전파되었을 수도 있고

또, 척박한 울릉도 땅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호박엿보다 먼저 길렀을 확률은 있습니다. 

다만!!!! 엿!!! 자체는 울릉도에서 흔하게 먹던 것이 아닙니다. 

울릉도는 척박하기에 쌀이 많이 없었습니다. 평평한 땅이 없어 논농사를 지을 수 없었기에 쌀이 귀했습니다. 

당연히 엿을 만들기 위해서는 곡물을 삭혀야 하는데 주로 쓰이던 곡물은 쌀입니다. 

당장에 입에 풀칠할 쌀도 없는 마당에 엿 만들어서 호박넣고 할 여유가 있었을까요?

쌀 말고 다른 곡물 키워서 엿 만들었을 수도 있잖아? 하실 수 있는데 

마리 앙투아네트도 아니고 지금 당장 먹을게 없었다니까요


후박나무 진액과 열매로 엿을 만들어 먹었던 것을 후박엿으로 불렀는데 그게 호박엿으로 와전되었다

이것도 반은 맞고 반은 틀린게

틀린 이유는 앞에꺼랑 동일합니다. 엿? 엿? 엿?이요? 당장에 먹을게 없다니까요

후박나무는 울릉도에 자생하는 나무였고 흔했습니다. 모든 울릉도 나무가 그렇듯이 흔했었습니다. 

왜인들이 오기전까지는요 왜인들이 와서 나무 싹 베어가면서 흔해빠진게 귀해빠져졌습니다.

후박나무는 아플때 먹던 약용재료중에 하나였습니다. 이것은 그리 먼 과거에 문헌으로 볼 그런 수준이 아니라

당장에 울릉도 할배 할매한테 물어보게 되면 어릴때 아플때 후박나무 달여먹었다 같은 과거 얘기를 들을 수 있습니다.

충분히 현실적인데 왜 이 썰에 가능성을 0.1%라고 보냐 라고 물을 수 있는데,

어디에 물어봐도 아플때를 위해 후박나무를 가공해서 상비약처럼 가지고 있었다는 증언을 들을 수 없었습니다.

필요할때 찾아서 만들어 먹었지 이걸 미리 만들어서 "보관"하지 않았기에 

울릉도 사람들이 아플때마다 엿으로 만들어 먹었다는 말이 안됩니다. 


사위가 울릉도 온다고 호박죽을 끓였는데 끓이고 끓여도 사위가 오지못해(배 날씨 때문에)엿이 되었다.

위에 썰들이랑 다르게 그나마 현실적입니다. 

백년손님, 귀한 사위가 온다고 했기때문에 귀한 음식을 대접하고자 했다는 내용이 들어가면서

쌀이 귀한 울릉도에서 쌀을 사용할 당위성을 부여했지만

쌀로 죽을 만드는 공정과 쌀로 엿을 만드는 공정은 다릅니다.

뭐 죽이 엿처럼 보이도록 끓였다고 말 할 수 있을 겁니다. 

근데 울릉도가 쌀은 귀하디 귀해도 물은 흔해 빠졌었습니다.

사위가 오는데 죽이 엿이 되려는데 물을 추가할 생각을 못할 장모가 있었을까요?


- 호박엿의 유래 없는 썰

울릉도 호박엿은 육지에서 먼저 유명해졌습니다. 

어떤 육지에 공장이 울릉도 호박엿이란 이름으로 호박이 첨가된 엿을 팔기 시작했고

인기를 끌게 되었습니다. 

그 이후 울릉도 주민들 사이에서 에? 우리가 호박엿이 유명했다고? 하면서 특산물로서

호박엿을 수입해오기도 했고 실제로 울릉도에서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이 썰도 선후관계가 바뀐 울릉도가 여행으로 유명해지면서 특산물을 팔고 싶은데 뭘 팔아야 할게 없어

육지의 공장과 주선해서 울릉도 호박엿이라는 브랜드를 만들었고 그 것을 울릉도에 팔면서 유명해져서

육지에도 팔면서 더 유명해졌다 는 썰도 있습니다.  


호박으로 만들어진 울릉도 특산?물로써는

호박엿

호박젤리

호박조청

호박식혜

호박빵

정도가 있고 매년 다양한 호박 식품이 나오고 또 망하고 그러는 중에 있습니다. 


그럼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어쌔신크리드 님의 게시글 댓글
SIGNATURE
시게이트 하드에 개복치라고 이름 붙인 사람
미에어로 X알 말리는 사람
등 이상한 메모가 달렸다는 제보를 받은 어쌔신 크리드입니다.

본업은...학생이기도 하고 한량 백수이기도 하고 유튜버이기도하고 건설도 하고 땅도 파고 각종 시골잡무를....
               잠깐 이거 노예 같은데..?  예 노예인거 같습니다.
부업은 울릉도에서 가족단위의 소규모 여행객만 받아서 고오오오급 여행을 회사를 하는 아부지를 도와주고 있습니다.

울릉도 여행에 관해서 궁금하신게 있으시다면 언제라도 쪽지 주시면 답장드리겠습니다.
(우리 여행사를 이용해주시면 더 좋고요 ㅎㅎㅎㅎㅎㅎ)
서명 더 보기 서명 가리기
  • 주소복사
  • Facebook
  • Twitter
6명
댓글 • [10]
메모동기화
을 누르면 회원메모를 할 수 있습니다.
삭제 되었습니다.
존케이지
LINK
#142585976
IP 175.♡.61.198
23-05-30 2023-05-30 10:42:13
·
호박맥주, 호박막걸리......=3=3=3
구렁텅이
LINK
#142590497
IP 211.♡.64.119
23-05-30 2023-05-30 14:58:40
·
울룽도 특산이라고 샀지만 표기사항을 봤더니 다 내륙이 제조원이라는...씁쓸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iStpik
LINK
#142591042
IP 211.♡.171.48
23-05-30 2023-05-30 15:26:43
·
특산품이라는게 참 알수가 없네요.... 저는 반대편 서쪽 강화에서 어릴적 집근처나 시장에서는 고구마 구경도 못해봤는데(충청도 사는 친척집에가서 얻어올 정도니....), 대학생때 집에 돌아 오면서 터미널에 보니 특산품으로 고구마 광고가 있어서 고구마가 났었나???? 했습니다.
시류떡
LINK
#142592277
IP 211.♡.98.58
23-05-30 2023-05-30 16:32:30
·
저는 엿은 별로였고.. 젤리랑 조청이 생각보다 맛있었습니다 ㅋ~

근데 이에 붙지 않는 호박엿이라는데..
호박젤리 먹다 임플란트가 빠져서 ㅠㅠ
긍정_파워
LINK
#142602308
IP 14.♡.64.253
23-05-31 2023-05-31 09:10:53
·
@시류떡님 이에는 붙지 않지만 임플란트에는 붙습니다!!???
저도 임플란트가 있어서,, 캬라멜이나 엿같은건 잘 안먹습니다. ㅠㅠ
푸른미르
LINK
#142598684
IP 14.♡.186.98
23-05-31 2023-05-31 01:23:56 / 수정일: 2023-05-31 01:25:29
·
태하쪽에서 논농사를 지을 수 있다고 하더군요
개척 초기에 행정중심이었고 그 당시에도 논농사도 짓다가
중단됐다 요즘엔 다시 논농사를 짓는 다고 하더군요

태하에 황토, 향나무, 후박나무가 많이 나니
후박엿도 자연스레 만들었을 듯 하네요
물론 근처에 호박엿 공장도 있더군요 ㅎㅎ
어쌔신크리드
LINK
#142605007
IP 116.♡.165.115
23-05-31 2023-05-31 11:32:19
·
@푸른미르님 네 맞아요 태하가 유일하게 논농사를 지었었습니다.
어쌔신크리드
LINK
#142611031
IP 223.♡.152.59
23-05-31 2023-05-31 16:49:35
·
@푸른미르님 현재도 짓는 소식은 첨들어봐서 알아봤는데
누가 쌀 필요해서 하는건 아니고 농업기술센터에서 과거에 벼농사 짓었던 것을 복원? 하는 프로젝트라네요
푸른미르
LINK
#142612616
IP 14.♡.186.98
23-05-31 2023-05-31 18:12:17
·
@어쌔신크리드님
몇년 전 소식이었는데 확대 되진 않은 모양이로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야근의요정
LINK
#142627178
IP 121.♡.67.72
23-06-01 2023-06-01 16:13:25
·
울릉도 버스투어 중간에 엿공장이 쇼핑코스로 걸려있는데... 자유여행주의자라 그런가 패키지에서 중간 쇼핑 코스 걸리는거 킹받더군요...ㅋ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이미지 최대 업로드 용량 15 MB / 업로드 가능 확장자 jpg,gif,png,jpeg
지나치게 큰 이미지의 크기는 조정될 수 있습니다.
목록으로
글쓰기
글쓰기
목록으로 댓글보기 이전글 다음글
아이디·비번 찾기 회원가입
OTP 앱 인증코드
인증코드를 받지 못하는 경우
GIF 파일 다운로드
0 0 0 0
GIF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려면
화면에 표시된 4자리 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 주소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