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WEB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폰트크기변경 색상반전보기
톺아보기 추천글
커뮤니티 C 모두의광장 F 모두의공원 I 사진게시판 Q 아무거나질문 D 정보와자료 N 새로운소식 T 유용한사이트 P 자료실 E 강좌/사용기 L 팁과강좌 U 사용기 · 체험단사용기 W 사고팔고 J 알뜰구매 S 회원중고장터 B 직접홍보 · 보험상담실 H 크롤링테스트홈
공지잠시후(19일 0시) 서버 점검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더보기
l

팁과강좌

기타 카시트 잘 태우기에 대한 이야기 25

13
newicarus
16,277
2023-06-07 10:16:08 211.♡.61.161

요즘 카시트는 의무고 카시트를 태워야 안전하다는 인식은 다 가지고 계신듯 합니다.


그러나 카시트 태우기가가 너무 어렵고 애기가 거부하는 경우도 많죠. 카시트 태우기에 대한 팁을 좀 적어보고자 합니다.


물론 애기마다 기질이 다르고 상황이 다르고 저도 겨우 두명의 아이를 기르고 쓰는 내용이라, 기질적으로 힘든 아이 부모님들은 공감이 안되시겠지만, 그래도 팁으로 드리고자 합니다.


선 요약하자면


1. 조리원 혹은 산부인과에서 나올 때 부터 바구니 카시트로 시작하자


2. 그 때 시작하지 못했으면 늦어도 50일 이전에는 늦어도 100일이 되기 전 꼭 카시트를 태워서 다녀보자


3. 보호자는 옆자리에 처음 한 두번만 타고 조수석이나 운전석에 타자


4. 절대 풀어주지말자




1. 조리원 혹은 산부인과에서 나올 때 부터 바구니 카시트로 시작하자


정말 어렸을 때부터 차에타면 카시트에 타는 거라는 걸 인식시켜야 합니다. 어리면 어릴수록 좋지요 

처음 카시트 타면 기가막히게 차가 움직이면 안울고, 정차하면 울고 합니다. 그런데 울더라도 달래주지 말고 최대한 두고 적응을 시켜야 합니다.  


조리원 나올 때 보면 이 조만한걸 어떻게 카시트에 태워라는 생각이 들지만, 정말 아무것도 모를 때 그 때부터 하면 정말 쉽게 됩니다. 퇴원 때 못했으면 첫 예방 접종 때라도 시작하면 좋습니다.


2. 그 때 시작하지 못했으면 늦어도 50일 이전에는 늦어도 100일이 되기 전 꼭 카시트를 태워서 다녀보자 


첫째는 150일 무렵부터 엄마가 혼자 매일같이 카시트에 태워서 아침과 저녁에 할머니집에 가야하는 상황이었습니다. 첫째라 카시트 길들이기 이런거 생각 못하고 바구니 카시트 없이 예방접종까지는 안고 다녔죠. 

그러다 100일 안되서 카시트에 태워서 계속 다녔습니다. 울더라도 절대 안풀어주고 보호자도 처음 세 번까지는 옆에 앉았는데, 멀미나고 힘들고 해서 그리고 어차피 150일 부터는 옆에 못 앉기에 조수석으로 운적석으로 갔습니다.

그 결과 지금은 카시트 너무 잘탑니다. 매일 같이 탄 것도 도움이 되었겠지만, 어려서 부터 절대 풀어주지 않고 태운것이 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15개월 무렵에 2시간 넘게 타기도하고, 19개월 무렵에는 편도 4시간도 잠 한숨 안자고 타고 갔네요..(중간에 휴게소에서 한번 쉬었지만요.) 카시트도 결국 적응이라고 생각합니다. 


절대 안풀어주고 엄마 아빠는 너에게 이 문제에 있어서 양보와 타협이 없다는 걸 단호하게 보여줄 필요가 있습니다. 


3. 보호자는 옆자리에 처음 한 두번만 타고 조수석이나 운전석에 타자


보호자가 옆에 타면 계속 멀 요구합니다. 놀아달라, 영상보여달라 이것 저것. 그런데 아주 어렸을 때 부터 보호자가 옆에 안탄다는 걸 인식하면 그냥 잘 타고 다닙니다. 그리고 보호자가 처음부터 옆에 타면 당연히 보호자가 옆에 탄다고 인식합니다. 

언제나 둘이 같이 다니면 좋겠지만, 애기만 태우고 다닐일이 많은데 그럴 때 마다 애기가 옆에 안탔다고 울면 답이없죠.


처음부터 보호자는 1열에 너는 2열에 앉는다는 걸 인식 시켜야합니다.


팁이라고 거창하게 제목이 지어졌지만 핵심은 아주 어려서부터 태우기입니다.


이미 아이가 카시트 거부가 심하신 분들에게는 팁이 되지 못해 죄송할 따름입니다. 


예비 엄마아빠들에게 드리는 팁이니 꼭 기억하셨다가 퇴원 때 바구니 카시트부터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newicarus 님의 게시글 댓글
  • 주소복사
  • Facebook
  • Twitter
13명
댓글 • [25]
메모동기화
을 누르면 회원메모를 할 수 있습니다.
sierre
LINK
#142708305
IP 203.♡.149.205
23-06-07 2023-06-07 10:28:27 / 수정일: 2023-06-07 10:28:54
·
맞습니다. 애들에게 필요한 습관(?)같은 건 어렷을때부터 시작해서 그게 당연한 거라고 생각하게 해야합니다. 뭐가 되었던 늦게 시작할 수록 교정이 힘들고 기간도 오래 걸립니다.
약간 다른 이야기지만 아들 셋 3~6개월 부터 혼자 재웠더니 잠은 당연히 자기 방에서 혼자 자는 거라 생각해서 혼자 잘 잡니다.
고슘도치
LINK
#142709124
IP 1.♡.152.132
23-06-07 2023-06-07 11:10:52
·
오래된 이야기이지만, 차량안에서는 남에게 민폐를 끼칠 일이 없어서, 아무리 울어도 "많이 울면 목소리가 좋아져서 나중에 노래를 잘 부른다더라"라고 생각하며 아무생각없이 운전했었습니다. 한 1년 고생했더니, 덕분에 중1까지 아무말 없이 잘 타고 다녔죠.
뜌엤으로 울어댔습니다. ㅋㅋㅋ
놀이터
LINK
#142709563
IP 59.♡.37.241
23-06-07 2023-06-07 11:36:13
·
저는 태어나기도 전에 영아용, 유아용 등 사 다 놓고, 집에서 '저게 니 의자야!'라고 했고, 외출할 때는 전용 의자를 가져간다고 했어요. 그렇게 하니 애 둘 다 100% 쉽게 카시트 잘 타더라구요.
임라임
LINK
#142710548
IP 121.♡.104.227
23-06-07 2023-06-07 12:32:44
·
글 쓰신대로 조리원때부터 카시트를 적응시켰더니 거부하지 않고 잘 타고 있습니다. 아직 엄마랑 같이 타고있는데, 이 글 보고 이번 주말부터는 엄마 분리를 하려합니다 ㅎㅎㅎ
JM_
LINK
#142710706
IP 175.♡.232.149
23-06-07 2023-06-07 12:41:49
·
85일차 아들래미 세네번이 전부이긴 하지만 너무 잘 타고 잘 자서 뭔가 안심이 되더라구요.
지금까지는 병원검진 정도만 다녔지만 얼른 태우고 드라이브 가고 싶네요 ㅎㅎ
디방이
LINK
#142711448
IP 61.♡.131.142
23-06-07 2023-06-07 13:21:31
·
애들 셋다 차타면 카시트에 앉는거 당연시 합니다.^^
습관이 되면 거부 안합니다. 중간에 애들이 힘들어 하는거 같다고 풀어 주는 순간 애들은 알아요~
아 이게 먹히는구나 ㅋㅋ 누울자리 보고 눞는다는 말이 딱 맞아 떨어요^^
요즘 막내가 내릴때 버클을 먼저 풀길래 버클 푸는건 엄마아빠만 하는거라고 주의를 줬네요^^
가끔 할머니가 옆에 타면 불편하다고 찔러봅니다. 하지만 절대 안된다고 주의를 줍니다 ㅎㅎ
newicarus
LINK
#142711957
IP 211.♡.61.161
23-06-07 2023-06-07 13:46:12
·
@디방이님 저도 할머니가 안고 싶다고 도착하기전에 풀어주고 안아서 뭐라했네요 버릇나빠진다고 ㅎㅎ
evilsmoke
LINK
#142756132
IP 59.♡.117.156
23-06-09 2023-06-09 22:51:20 / 수정일: 2023-06-09 22:56:33
·
@디방이님 맞아요. 할아버지, 할머니 같이 타실 때, 애가 울면 그거 못보시고 꼭 안고 가시려고 합니다. 결국엔 어르신들 역정내시고 싸움이 나도 어쨌든 절대 허락 안했습니다. 안고가다 혹시 사고나면 아이가 에어백이 돼서 어른은 살고 아이는 죽는다고 몇 번 말씀드리니 그 뒤부턴 포기하시더라구요. 저희도 조리원 나오면서 처음 차 탈때부터 시작해서 지금 초등학생인데 앞자리 앉아보래도 자기가 앉기 싫다고 합니다. 철저한 조기 습관화가 정답입니다.
청하향
LINK
#142714431
IP 118.♡.10.171
23-06-07 2023-06-07 15:47:47
·
저도 함 써보고싶던 주제였습니다..
카시트 타고 울던게 엊그제였는데.. 이제는 알아서 카시트 올라가서 벨트 체결까지 하고 있네요..
No_eyes
LINK
#142715169
IP 220.♡.185.60
23-06-07 2023-06-07 16:22:34
·
첫째는 많이 커서 혼자 부스터시트에서 벨트 매고 둘째는 카시트에 앉아서 엄마가 벨트 매어주길 기다리며
아빠 나 아직 벨트 안맸으니 출발하지마라고 말합니다.
비결은 태어나 집으로 처음 오던날 부터 바구니카시트 사용하고 집에서도 수유후 낮잠 잘때 하루 한두시간은
바구니 카시트에서 재웠습니다. 가끔 장거리 이동할때 맘대로 못 움직여 투정부리는 울음 외엔
힘든점 없었네요. 지금은 두세시간 정도 논스톱 이동은 무리없이 가능합니다.
그 이상은 저도 쉬었다가야 해서 환기되구요. 이동중에 동영상시청등도 안합니다.
베네일
LINK
#142716354
IP 106.♡.177.194
23-06-07 2023-06-07 17:19:32
·
카시트중에 바구니형인데, 아래 접혀있는 바퀴 펴면 유모차로 바뀌는 제품 있습니다.
결국 카시트 태우는게 어려운건데, 유모차 태우듯 태우고 카시트 이동 없이 바로 카시트가 되니 아주 좋습니다.
차 탈때는 바퀴 접어서 고정프레임(Isofix)에 끼우면 고정도 잘 됩니다.
이걸로 첫째 둘째 돌때까지 커버했습니다. 아주 강추에요
다만, 자체 무게가 좀 있어서 여성분이 들기에는 조금 힘듭니다.
도리도리콩
LINK
#142716610
IP 172.♡.95.45
23-06-07 2023-06-07 17:34:46
·
궁금한 점이 있는데 카시트를 뒤보기해야 안전한데 1열에 계시면 2열에 뒤보기한 아이를 어떻게 살피시나요? 아이도 부모가 안보일텐데 괜찮은가요?
*너부리
LINK
#142716677
IP 112.♡.65.126
23-06-07 2023-06-07 17:38:28
·
@도리도리콩님 2열 헤드레스트에 다는 거울이 있습니다. 그거 달아서 아이들 살폈네요
도리도리콩
LINK
#142716777
IP 172.♡.95.45
23-06-07 2023-06-07 17:44:04
·
헤드레스트 거울로 아이가 자는지 노는지는 보이긴하는데 너무 작게 보이고 아이 입장에서는 제가 잘 안보이는것 같더라구요
뭔가 항상 불안합니다
Laboriel
LINK
#142716823
IP 119.♡.233.236
23-06-07 2023-06-07 17:45:51 / 수정일: 2023-06-07 17:46:20
·
제가 2호까지는 애들 무슨일이 있어도 카시트 태웠었는데
3호는 성격이 몹시 고약해서, 2시간까지도 울어요
근거리는 애가 너무 심하게 울면 조심조심 앞자리에 안고 타다가 요즘 9개월 들어가서 왠만하면 카시트 다시 태우려고 적응시키는데
이제는 좀 타고 자거나 놀거나 하더라고요 세상에 100%는 없는 듯 합니다.
Goldilocks
LINK
#142717969
IP 182.♡.230.86
23-06-07 2023-06-07 18:54:46
·
가평에서 서울로 오는 길에 둘째를 카시트에 태워 오는데

거짓말 안보태고 3시간 동안 울었습니다.

죽어도 풀어주지 않고 울든 말든 가만히 차 몰고 왔는데

이 일 이후에는 카시트에 그냥 잘 타더라구요 ㄷㄷㄷ
wheelnut
LINK
#142719497
IP 223.♡.41.195
23-06-07 2023-06-07 21:00:35
·
다 맞는 이야기인데 특히 3번은 꽤나 공감합니다.

다만 아이 상태가 좋지 않아서 관찰이 계속 필요한 특별한 경우만 제외하고요.
하드웤
LINK
#142721479
IP 182.♡.137.220
23-06-07 2023-06-07 23:40:56
·
카시트는 아주 당연하게 잘 타고 좋아해서 걱정이 없는데, 문제는 3번.. 아이가 가끔 뜬금없는 멀미가 있어서 어지간하면 옆에 누가 꼭 앉아줘야 합니다.. 몇 번 당해보니 아이 엄마가 아주 기민하게 토를 잘 받아내네요.
착한악당
LINK
#142725385
IP 106.♡.180.4
23-06-08 2023-06-08 10:07:17
·
애 셋 키우는 아빠입니다. 모두 카시트생활에 적응을 잘했습니다. 말씀처럼 운전중에는 무조건 카시트를 태웁니다.
첫째보단 둘째가 어렵고, 둘째보단 셋째가 어렵습니다. 왜냐면 울면 옆에 아이가 잠을 못자기 때문인데요..
그래도 계속 해야 적응하고 다음이 순탄해집니다.
뽀송베개
LINK
#142733001
IP 106.♡.142.208
23-06-08 2023-06-08 16:48:39
·
울어도 쳐다보면 안됩니다.
제발착해지자
LINK
#142738427
IP 115.♡.35.121
23-06-08 2023-06-08 23:32:47
·
카시트에서 벨트까지 쭉 성공하셔요
초5 아이 지금도 차타면 안전벨트하네요
다른 건 말안듣는데 말이죠
파미군
LINK
#142745495
IP 125.♡.248.218
23-06-09 2023-06-09 12:29:09
·
저희아이들 3명 모두 울어도 가만 두니 잘 타고 다닙니다.
운다고 풀어주면 다시는 안타요. 어른들이 유난이라고 하시는 분들도 있었지만 그냥 무시하고 안풀어 주니 알아서 잘 타더라고요
re-burning
LINK
#142746595
IP 76.♡.229.19
23-06-09 2023-06-09 13:22:38
·
미국 같은 경우는 병원에서 퇴원할때부터(생후3일) 간호사가 나와서 카시트에 태우는 거 확인하더라구요. 애초부터 그렇게 적응이 되니 가끔 기분에따라 앙탈을 부릴때는 있어도 카시트 자체는 당연하게 생각하는것 같습니다.
케헤헥
LINK
#142770581
IP 98.♡.237.45
23-06-11 2023-06-11 01:00:15
·
@re-burning님 미국에서 애들 키우는데 카시트는 의무라서… 뭐 처음부터 사용하니 아무런 부작용이나 거부반응 없고 편하더군요.
주마다 조금 다른데 보통 몸무게와 나이로 제한을 두더군요. 딸아이는 이제 8살이라 부스터 안써도 되고 아들은 5살이라 아직 부스터 사용중입니다.
알레그로
LINK
#142768432
IP 73.♡.117.95
23-06-10 2023-06-10 22:07:00
·
3번이 중요하죠
옆에서 우는거 봐주고 들어주면 협상에서 밀립니다
협상 과정이 길지도 않습니다 몇번한 하면 자기 자리로 받아 들입니다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이미지 최대 업로드 용량 15 MB / 업로드 가능 확장자 jpg,gif,png,jpeg
지나치게 큰 이미지의 크기는 조정될 수 있습니다.
목록으로
글쓰기
글쓰기
목록으로 댓글보기 이전글 다음글
아이디·비번 찾기 회원가입
OTP 앱 인증코드
인증코드를 받지 못하는 경우
GIF 파일 다운로드
0 0 0 0
GIF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려면
화면에 표시된 4자리 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 주소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