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electrek.co/2023/06/08/gm-announces-adopt-tesla-nacs-connector/
포드가 현재 북미 충전 표준(NACS)으로 알려진 테슬라의 커넥터를 채택한다는 소식에 이어 GM도 충전 기준을 채택할 것임을 확인했다.
이는 북미 전기차 신규 충전 기준으로 NACS를 공고히 해야 하는 도미노 효과의 다음 단계가 될 것으로 보인다.
테슬라가 지난해 독점 충전 커넥터를 개방해 만들겠다고 발표하면서 북미 산업 표준, 우리는 테슬라의 플러그가 현재 CCS 표준보다 훨씬 우수한 디자인이라는 것에 동의하지만 너무 늦을 수도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지난 달에 틀렸다는 것이 증명되었습니다. 포드는 향후 전기차에 NACS를 통합할 것이라고 밝혔다.
메리 바라 GM 최고경영자(CEO)는 제너럴모터스(GM)도 향후 전기차에 테슬라의 도움을 받아 NACS를 채택할 것임을 확인했다.
바라는 트위터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와 함께 이 같은 발표를 했다.
그녀는 플러그가 달린 첫 번째 차량이 2025년에 들어오고 포드처럼 GM EV 소유자들은 모두 2024년부터 NACS 어댑터로 CCS로 테슬라의 슈퍼충전기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포드처럼 GM의 바라는 테슬라의 커넥터의 보다 효율적인 디자인과 테슬라의 슈퍼차저 네트워크의 “강건성”을 이 표준을 채택하는 이유로 언급했다.
나중에 무선으로 대동단결 하려나..
유럽 차들의 반응이 궁금해 집니다. (그 여파가 한국에서 어찌 될지도 궁금해 지네요)
그러길래 ccs 할거면 유럽형으로 하지......
한국은 쉽지 않겠지만 IRA조금만 풀어주면 현기도 다 이렇게 바꾸고 그럼 국내도?
진짜 DC콤보 아답터랑 테슬라아답터 한번만 해보시면 테슬라가 얼마나 잘 만들었는지...
테슬라 주식이...
그럼 미국에 수출하는 다른 자동차 업체도 안바꿀수 없겠죠!!
일단 폭스바겐 따라갈거구요..
최종적으로 전세계를 통일시키겠네요.
미국에선 그냥 테슬라 사는게 가장 현명한 판단이겠네 싶더군요.
CCS1은 우리나라에선 비효율적이지만 그래도 미국서쓰니 따라 간다 라는 명분이었는데, 그 명분자체가 이제 흔들리게되었네요,
우리나라같은경우는 이제와서 CCS2로가는것도, 테슬라 해골포트를 우리나라에서 채용하는것도 어려워보이니 졸지에 CCS1의 사실상 종주국이 되는거 아닌지 ㅡ,.ㅡ;;
남들 다 WCDMA로 서비스 할 때 울며겨자먹기로 서비스해야 했던 LG유플러스의 3G. 전세계최초였고 다른 나라 거의 사용하지 않아서 자연스럽게 종주국이 되었을겁니다.
한국도 빨리 바꾸는게 좋을거 같아요.
이러다 현대도 북미향은 NACS 한국은 CCS1 나오는거 아닌지...
포드나 GM은 지금이 가장 빠른 때라고 생각한 것 같습니다.
미적거려봐야..
재벌에 복종하는 정부라 현대가 빠르게 판단하면 바로 바뀔거 같기도 하고...
전기차 살 돈없어 지켜보는 저로선 흥미롭게 흘러가네요.
반박시 내가맞구요
미국 유료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전기차 충전 현실이 이렇다고 하니 테슬라랑 연합하는게 이해가 되네요
2탄도 있습니다.
전기차가 대중화된 중국도 지방으로 가면 충천할수 가 없다고 하니 전략은 좋은것 같습니다.
캘리포니아랑 텍사스 비교도 재미있네요
TPC가 압도적으로 작고 편해요... 충전 시간 차이도 별 차이도 안나구요..
슈퍼차저는 구축비용이 다른 고속충전기의 몇분의 일밖에 안되며 사용자경험은 월등합니다.
보조금을 뿌려야하는 미정부입장에서는 중복투자방지, 대중국 경쟁력확보, 국민편의에서 충전방식 통일이 필요하죠.
그렇다면 미국에서 판매중인 타 자동차회사들도 거의 다 슈퍼차저를 쓰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