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WEB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폰트크기변경 색상반전보기
톺아보기 공감글 추천글
커뮤니티 C 모두의광장 F 모두의공원 I 사진게시판 Q 아무거나질문 D 정보와자료 N 새로운소식 T 유용한사이트 P 자료실 E 강좌/사용기 L 팁과강좌 U 사용기 · 체험단사용기 W 사고팔고 J 알뜰구매 S 회원중고장터 B 직접홍보 · 보험상담실 H 크롤링테스트홈
공지잠시후(19일 0시) 서버 점검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더보기
u

사용기

생활용품 하드렌즈 장기 사용 후기 67

14
이금기굴소스
23,356
2023-06-10 12:26:28 수정일 : 2023-06-10 12:27:39 1.♡.5.96

images?? (1).jpeg

대학을 입학하고 알바를 하기 시작하면서 외모적인 문제로 렌즈를 착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정말 많은 종류의 렌즈를 시도해본 결과 하드렌즈에 성공적으로 정착했고 지금은 너무너무 만족하고 있어서 좀 썰을 풀어볼까 합니다.



소프트렌즈에 만족하지 못한 이유


1. 소프트렌즈의 착용감을 도저히 견딜 수가 없었습니다. 별다른 안구건조증이 없는 사람이라도, 소프트렌즈를 장시간 착용하는 것은 상당한 안구의 피로감을 유발하게 됩니다.


소프트렌즈는 본질적으로 부드러운 재질의 렌즈를 항상 촉촉하고 탄력있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눈의 눈물을 계속해서 흡수하게 됩니다. 원데이 렌즈, 2주 착용 렌즈, 혹은 어느 다른 렌즈라도 마찬가지입니다. 바x롬, 쿠xx전, 아x브 등등 여러 제조사의 렌즈를 테스트해봤지만 결과는 오십보 백보였습니다.


때문에 소프트렌즈의 경우 하루에 대략 8시간 이상의 착용이 쉽지가 않습니다. 아침에 렌즈를 끼고 나가면 저녁 즈음에는 온 신경이 안구에 쏠리고 어서 렌즈를 빼버리고 싶다는 생각만 가득해지죠. 인공눈물을 가지고 다니면서 수시로 넣어주면 좀 낫기는 한데 이게 뭐하는 짓인가 싶어지더군요.


2. 난시가 있을 경우 시야의 품질이 그다지 좋지가 않습니다. 렌즈 재질 자체가 굉장히 유연하고, 각막 위에 밀착되기 때문에 난시가 있을 경우 이를 개선하는 효과가 별로 없습니다. 게다가 난시 렌즈의 특성상 렌즈가 비대칭 형태로 제작되는데, 렌즈의 곡면과 안구의 곡면이 정렬되지 않으면(렌즈가 돌아가면) 그 효과가 더더욱 떨어집니다. 눈을 깜빡일때마다 렌즈가 조금씩 움직이면서 난시 교정축이 쉴새없이 회전할 경우는 정말 착용감이 하..


그렇다고 해서 난시 도수가 들어가있지 않고 단순한 근시 교정 전용 렌즈를 끼게 되면 이 역시 매우매우 불편합니다.


3. 착용이 그렇게 편하지가 않습니다. 렌즈의 구경이 하드렌즈보다 훨씬 크다보니 착용시 눈꺼풀을 왕창 벌려야 합니다. 속눈썹이 길 경우 렌즈가 속눈썹에 자꾸 걸려서 안 들어가는 아름다운 상황도 연출됩니다.



하드렌즈로 넘어오면서 상당히 많은 부분이 개선되었습니다.


1. 시야의 품질이 대단히 훌륭합니다. 저처럼 난시가 있는 경우 그 효과는 더 극대화되어 플라스틱이 아니라 유리 렌즈로 제작된 안경조차 뛰어넘는 수준입니다. 하드렌즈의 특성상 경도가 어느정도 있는 재질이다보니 그런 면도 있는 거 같고, 하드렌즈는 특성상 안구의 눈물층 위에 표면장력으로 둥둥 떠있거든요.


욕실에서 불투명한 유리 위에 물을 뿌리고, 그 위에.다시 투명한 유리를 찰싹 붙여놓으면 투명하게 잘 보이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저에겐 이 부분이 가장 컸습니다. 저의 경우는 외모적인 문제로 착용하기 시작한 렌즈이지만, 하드렌즈의 시야 교정 성능이 너무 탁월해서 휴일에 집에 있을 때도 렌즈를 상시 착용하고 있습니다.


2. 장시간 착용시 피로가 거의 없습니다. 렌즈가 눈물을 전혀 흡수하지 않는 재질이고, 안구의 눈물층 위에 떠다니다보니 렌즈 아랫층에서는 눈물이 계속 순환하기 때문일 겁니다. 


개인적인 체감으로는 하루 24시간 이내의 범위에서는 사실상 착용 시간의 제한이 전혀 없다고 느껴졌습니다. 렌즈를 끼고 자는 것은 권장되지 않기 때문에 잠자리에 들기 전에는 렌즈를 빼는 정도를 제외하면, 안구의 피로 때문에 렌즈를 빼고 안경을 끼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습니다. 학생들의 경우 평소에는 소프트렌즈를 끼더라도 공부를 할 때에는 안경을 쓰는 경우가 흔한데, 하드렌즈를 쓸때는 그런 필요성을 전혀 못 느꼈습니다.


3. 렌즈가 작다보니 착용도 상대적으로 쉬운 편입니다. 눈썹에.렌즈가 걸릴 일이 없고, 눈꺼풀을 뒤집어가며 착용할 필요도 없습니다.


이런 이유로 하드렌즈를 대단히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하드렌즈가 인기가 없는 것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하드렌즈를 쉽사리 시도하기 힘든 장벽들이 좀 있습니다.


1. 초기에는 이물감이 굉장히 심합니다. 저의 경우 안경전에서 처음 렌즈를 끼워봤을 때 몇분간은 눈을 뜰 수조차 없었습니다. 대략적으로 첫 2주 가량은 이물감으로 좀 고생을 하는 거 같더라구요. 눈에 모래를 뿌린 듯한 고통이랄까요. 사람들이 하드렌즈를 꺼리는 가장 큰 이유 같습니다.


2. 눈에 먼지가 들어갔을때의 고통이 상당합니다. 저는 하드렌즈에 완전히 적응했음에도 가끔 야외에서 바람이 불어 눈에 먼지가 들어갔을 때의 고통은 견디기가 힘들더라구요. 보통의 경우는 줄줄 흘러나오는 눈물에 먼지가 저절로 씻겨내려가길 기다립니다만, 정 답이 없을 때는 근처 화장실로 가서 렌즈를 빼야 하는 상황이 종종 있습니다. 길을 걷다가 멈칫하고 한쪽 눈에서만 눈물을 줄줄 흘리고 있자면 기분이 참..


3. 눈을 비비는 것이 상당히 부담스러워집니다. 뭐 원래도 눈을 비비는 것이 좋지 않기는 하지만, 하드렌즈 착용자의 경우 눈을 비비다 자칫 먼지가 들어가거나, 최악의 경우 렌즈가 동공의 정위치를 이탈해 눈꺼풀 안쪽으로 들어가면 일이 너무 커집니다. 뭐 저는 그런 경우에도 대충 처리하는 스킬이 생기기는 했습니다만.. 


정말 최악의 경우는 렌즈가 눈꺼풀에 걸려서 바닥으로 톡 떨어지는 경우입니다. 바닥에 떨어진 렌즈를 뭉개면 안되기 때문에 아주 조심스레 바닥을 훑어야 하죠. 만원 버스를 타고 있는데 눈에서 렌즈가 가출했을때의 당혹스러움이란..


4. 초기 투자 비용이 높습니다. 대략 30만원 정도는 각오해야 하는데 이 정도면 칼자이스 렌즈가 들어간 안경을 맞추고도 여유있는 수준이라..


--


단점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하드렌즈는 첫 시도의 부담감이 상당한 편입니다. 또 익숙해지더라도 눈에 먼지가 들어가는 경우는 사실상 대비가 불가능하구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프트렌즈의 장시간 착용감에 대한 불만족이 있으시거나, 저처럼 난시가 심해서 소프트렌즈의 시력 교정 효과가 아쉬우신 분들에겐 한번쯤 고려해볼만한 괜찮은 대안이라 생각합니다.


저의 경우는 라식도 고려해봤으나 하드렌즈에 적응한 이후로는 라식 생각이 전혀 들지가 않네요. 라식의 경우 각막 절편이 회복되는 것이 아니라 비가역적으로 잘린 상태로 남는다는 것에 대한 심리적 거부감, 그리고 심각한 부작용은 아니더라도 안구건조증이나 야간 빛번짐 정도의 증상은 주위에서 종종 목격해왔던지라서, 별다른 이유가 없다면 앞으로도 하드렌즈에 장기간 정착할 생각입니다. 


하드렌즈는 명확한 불편함도 있지만, 사람에 따라 그를 상쇄하고도 남는 강력한 장점을 가진 렌즈입니다. 한번쯤 고려해보시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금기굴소스 님의 게시글 댓글
  • 주소복사
  • Facebook
  • Twitter
14명
댓글 • [67]
메모동기화
을 누르면 회원메모를 할 수 있습니다.
버터바
LINK
#142761701
IP 121.♡.121.233
23-06-10 2023-06-10 12:36:57 / 수정일: 2023-06-10 12:51:06
·
하드렌즈 15년차입니다 글 보니 반갑네요
장기 렌즈 착용으로 인한 불편함이나 부작용은 지금까지 딱히 없었으나, 운전은 아직도 무서워서 렌즈끼고 못하겠습니다
다만 적응만 하면 이것처럼 잘 보이고, 부작용 적은 렌즈도 없어서 저도 평생 착용하고 싶습니다
하드렌즈 꼭 2년마다 한번씩 바꿔주시고, 고도근시시면 문제 없어도 1년에 한번 안과 정기 검진 받으시길 추천드립니다
렌즈가 눈에서 자주 탈락된다면 인공눈물 더 자주 넣으시고, 하드렌즈도 회사별로 특징이 달라서 다른 렌즈도 찾아보세요
하드렌즈 바로 적응 하다니 대단하시네요 저는 1년 걸린듯해요ㅋㅋㅋ
현수파파
LINK
#142762237
IP 124.♡.8.47
23-06-10 2023-06-10 13:29:18
·
고도근시고 하드렌즈 착용한지 6개월 정도네요. 고도근시면 안경 렌즈 값도 비싸져서 하드렌즈가 오히려 싸지기도 하죠. 귀찮고, 손이 많이 가고, 잃어버릴 수도 있고, 먼지 들어가면 지옥을 맛보기도 하지만 마음에 드는 선글라스 착용 가능하고 안경으로 인한 코와 귀눌림이 없어지는게 좋네요. 챙길게 많아서 여행때는 소프트렌즈를 착용하지만 하드렌즈가 눈이 확실히 편해요..
SDf-2
LINK
#142762383
IP 106.♡.195.167
23-06-10 2023-06-10 13:41:31
·
저도 몇차례 시도 했는데

2. 먼지의 벽을 넘지 못했습니다.

3. 버스 분실도 경험해봤는데 당시 취업하고 첫 적금을 타고 이자를 17만원인가 받았는데 버스에거 30만원이 넘는 렌즈의 한쪽을 분실했습니다.

당시 참 허망하더군요 ㅎㅎㅎ
김원철
LINK
#142764379
IP 221.♡.145.243
23-06-10 2023-06-10 16:26:30
·
@SDf-2님 이 글 보고 잠시 귀가 팔랑팔랑했다가… 버스 분실 사례 & 눈을 제대로 못 뜨는 것 같다 콤보에 귀팔랑이 멈추었습니다…
파란 장미
LINK
#142767509
IP 111.♡.126.36
23-06-10 2023-06-10 21:06:16
·
@SDf-2님 저도 대학생때 하드렌즈 적응에 실패하고. 아큐브 2주. 일일렌즈로 30년이네요.
이물감을 아무리 해도 견딜수가 없었습니다.

소프트렌즈도 오로지 아큐브. 바슈롬이나 다른 건 못 껴요. ㅜ.ㅠ
교육과정
LINK
#142762389
IP 125.♡.133.213
23-06-10 2023-06-10 13:42:13
·
안녕하세요. 저는 하드렌즈 구매 3년차인데...
1달이상 연속으로 껴본건 이번 23년 5월이 처음입니다.

혹시 렌즈 착용 전 루틴이 있으신가요?
저는 식염수로만 헹구고 바로 끼는데,
혹시 식염수 헹구고 인공눈물도 렌즈에 한번 떨어뜨리시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알러지 안약도 따로 넣으세요? 알러펜 같은 병원 처방 안약이요...../

끼다보니 짜꾸 눈이 뻑뻑하고 끈적할 땐 어떻게해야할지.... 병원에선 그냥 안약 계속 넣으라구 해서 그대로 하고있긴해요...
이금기굴소스
LINK
#142762429
IP 1.♡.5.96
23-06-10 2023-06-10 13:44:26
·
@교육과정님 저는 알러지는 전혀 없고, 매일 저녁 하드렌즈용 세정제로 세척후 보존 전용액 채워서 보관 통에 넣어놓고 다음날 보관용액 묻은 채로 그냥 착용합니다.

저는 눈의 피로는 딱히 못 느껴봐서..
교육과정
LINK
#142762477
IP 125.♡.133.213
23-06-10 2023-06-10 13:48:33
·
@이금기굴소스님 혹시 보스톤꺼 쓰시나요? 저는 메니케어만 쓰고있는데 어떤거 쓰시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하드렌즈 정보 얻을 곳이 너무 없어서 여쭙습니다ㅠ
이금기굴소스
LINK
#142762500
IP 1.♡.5.96
23-06-10 2023-06-10 13:50:13
·
@교육과정님 네 보스톤의 세척액이랑 보존액을 씁니다. 다목적 용액으로 세척이랑 보관 전부 하지 마시고, 세척 전용 용액이랑 보관 전용 용액을 따로 쓰시는 건 어떨까 싶네요.
끌랑
LINK
#142762573
IP 14.♡.211.50
23-06-10 2023-06-10 13:55:18
·
아주 예전에 시도했다가 몇주만에 저는 포기했네요. 눈에 이물감을 이겨내지 못했어요. 눈물은 끊임없이 나고...
이금기굴소스
LINK
#142762662
IP 1.♡.5.96
23-06-10 2023-06-10 14:04:11 / 수정일: 2023-06-10 14:05:29
·
@끌랑님 몇주 정도면 보통 그래도 그럭저럭 나아질 기간인데 실패하셨다니 안타깝네요..

하드렌즈는 사용자 수가 너무 적다보니 하드렌즈를 제대로 맞출 줄 아는 안경점이 상당히 적은 걸로 압니다.

특히 베이스 커브라는 수치가 착용감에 주는 영향이 상당하다는데, 안경점이 아니라 안과, 개 중에서도 하드렌즈를 좀 잘 맞춘다는 안과에서 맞추시는 것도 좋다고 봅니다.

생각해보니 저도 지금 쓰고 있는 렌즈의 만족감이 가장 좋은데, 이것도 안과에 가서 맞춘 거네요.
arbert
LINK
#142766742
IP 219.♡.229.32
23-06-10 2023-06-10 19:59:41
·
@이금기굴소스님 렌즈 피팅 검색해보니 결과가 많아서 어디를 가야할 지 고민인데 혹시 쪽지로 어디서 하셨는지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이금기굴소스
LINK
#142766791
IP 1.♡.96.11
23-06-10 2023-06-10 20:03:34
·
@arbert님 저도 기억이 안 나서.. 안경점보단 안과를 가시는 것이 좋을 거 같다는 말씀은 드릴 수 있을 거 같습니다.
arbert
LINK
#142766839
IP 219.♡.229.32
23-06-10 2023-06-10 20:06:40
·
@이금기굴소스님 넵 동네안과부터 강남안과까지 알아보고 가보겠습니다.
빨강여우
LINK
#142762633
IP 1.♡.160.5
23-06-10 2023-06-10 14:00:58
·
저는 2번 실패해서.... 도저히 안되겠더라고요..
Peregrine
LINK
#142763032
IP 121.♡.96.38
23-06-10 2023-06-10 14:33:09 / 수정일: 2023-06-10 14:37:48
·
초기 이물감은 극복했지만.. 저도 기본적인 이물감을 이기지 못하고 결국 안쓰게 되더라고요.
거진 2년간 그래도 안경 대체해서 잘 살긴 했지만, 남들이 계속 렌즈끼니까 눈을 제대로 못 뜨는것 같다고 하더군요. 계속 게슴츠레 하게 뜨고 있는 것 같다고.. 나름 안과도 잘 해주는 곳이고 여러 테스트 거친 결과 당시 끼던 하드렌즈가 최선이었는데.... 장점도 분명 많지만 단점도 극명해서, 많은 사람들이 대중적으로 끼지 않는데는 이유가 있겠죠.
구스스스
LINK
#142763174
IP 115.♡.206.43
23-06-10 2023-06-10 14:45:11
·
@Peregrine님 '눈을 제대로 못뜨는 것같다'
저도 이게 제일 어려워서 적응을 결국 못했습니다. 눈이 엄청 피로해지더라구요
와옘
LINK
#142763575
IP 185.♡.233.14
23-06-10 2023-06-10 15:14:24
·
저는 양안 -5 디옵터 이하고 좌안에 심한 난시가 있습니다.
하드렌즈 3년 사용했는데 저는 끝까지 그 이물감과 불편함을 극복하지 못했습니다...그냥 참아가며 꾸역꾸역 버텼던 것 같네요.
결국 다시 안경만 계속 쓰다가 추운 동네로 파견 오는 바람에 안경을 쓰기가 힘들어서, 쿠퍼비전 한달 사용 소프트렌즈로 넘어 온 지 1년반 정도 되었습니다. 일단 소프트렌즈지만 난시 보정 효과는 굉장히 훌륭하고, 안경과 차이가 없네요.
저 같은 경우 시력은 안좋지만 안구 자체는 건강한 편이라 일상 생활에서 하루 기본 12시간 착용은 별 무리가 없습니다.
결국 사람마다 차이가 있으니 자기에게 맞는 제품은 직접 찾을 수 밖에 없을 것 같네요.
pomingpoo
LINK
#142771169
IP 172.♡.95.25
23-06-11 2023-06-11 02:35:42
·
@와옘님 저도 난시 굉장히 심한데 난시 소프트렌즈 괜찮다고 하시니 솔깃하네요. 혹시 난시 수치가 어느정도이신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저는 3.75입니다)
SML
LINK
#142763991
IP 139.♡.137.10
23-06-10 2023-06-10 15:46:45
·
하드렌즈 2년 쓰는 내내 눈이 뻘개져서… 결국 수술했어요 ㅠㅠ
이금기굴소스
LINK
#142764062
IP 101.♡.80.202
23-06-10 2023-06-10 15:53:51
·
@SML님 헉.. 이건 너무 심각한 결과네요..
NETFLIX
LINK
#142764367
IP 114.♡.51.187
23-06-10 2023-06-10 16:25:35
·
저도 소프트렌즈 지금까지 4종류정도 써봤지만 항상 안구 건조증으로 인해 8시간 버티는것도 일이더라고요
아직 대학생이라 학교 수업 들을때 정말 지옥입니다
더군다나 난시도수가 좀 있는 편(cyl -2.5)이라 가격도 은근 부담이고 해서
하드렌즈를 알아본적이 있습니다
제 경우 취미가 자전거라 하드렌즈를 낄 경우 사고시 눈을 다칠게 염려가 되어 선뜻 시도를 못하겠더라고요
혹시 하드렌즈를 끼고 격렬한 운동을 해보신적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금기굴소스
LINK
#142764408
IP 101.♡.80.202
23-06-10 2023-06-10 16:28:40 / 수정일: 2023-06-10 16:29:17
·
@NETFLIX님 하드렌즈 끼고 운동하시면 안됩니다. 격렬한 운동은 더더욱 안되구요.

특히 자전거는 맞바람을 이겨내며 달릴 경우가 많은데, 만일 바람에 모래라도 좀 섞여 불어온다 그러면 그건 하드렌즈 사용자에게 있어 대참사나 다름없습니다.

공부하실때는 하드렌즈 끼시다가 운동하실 때는 원데이 소프트 렌즈 끼시는 것도 방법이라 생각해요.
NETFLIX
LINK
#142765217
IP 114.♡.51.187
23-06-10 2023-06-10 17:44:51
·
@이금기굴소스님 조언 감사합니더
제니지민
LINK
#142768770
IP 219.♡.242.156
23-06-10 2023-06-10 22:31:21 / 수정일: 2023-06-10 22:32:48
·
@이금기굴소스님

테니스, 자전거, 수영에 이제 골프까지 하는 저는 그래서 하드렌즈를 못 낍니다.

'30만원 정도는 각오해야 하는데 이 정도면 칼자이스 렌즈가 들어간 안경을 맞추고도 여유있는 수준'이라고 하셨는데, 저처럼 고도근시인 경우, 니콘/자이스 정도 맞추면 [테 빼고] 렌즈만 40만원 넘습니다. 안경테 마음에 드는 걸로 하고, 혹시 부러질 경우를 대비해서 2개를 맞췄더니 200만원 넘게 나왔어요. 하드 렌즈가 눈에 덜 피로하다고 하고, 가격도 저렴해서 맞춰봤는데, 먼지 때문에 눈 아프고, 빠져서 몇 개 잃고 나서는, 그냥 원데이 낍니다.
아잉스-
LINK
#142769137
IP 219.♡.91.44
23-06-10 2023-06-10 22:54:36
·
@NETFLIX님 저도 하드렌즈 15년정도 꼈는데, 자전거는 고글 끼고, 수영은 물안경 끼고 하는데 문제는 아직까지 없었습니다. 테니스나 축구 같은거는 가끔 한적은 있는데 전문적으로 오래 한적은 없어서 만약 경우가 있기때문에 운동용 고글 같은 걸 끼고 해야할거같네요.
Ashu
LINK
#142765118
IP 116.♡.15.219
23-06-10 2023-06-10 17:35:19
·
하드렌즈 부적응자입니다.. ㅠㅠ

결국 라섹의 길로..
darann
LINK
#142765552
IP 222.♡.87.192
23-06-10 2023-06-10 18:16:45
·
저도 난시+안구건조증이 심해서 소프트 반년쓰고 하드로 넘어갔는데 전 정말 좋았습니다
장점-난시교정효과, 뻑벅함 덜함, 눈건강엔 소프트보다 좋음
단점-가격, 바람많이 부는날엔 눈을 게슴치레하고 다니게 됨, 이물질 들어가 눈물 난 상태에서 잘못 비비면 렌즈 빠질 수 있음
전 나이드니까 다 귀찮아서 보통은 안경+특별한 날 원데이 렌즈로 쓰는데 모니터 많이 보시면 하드 추천핮니다
네코짱
LINK
#142765558
IP 180.♡.168.22
23-06-10 2023-06-10 18:17:38
·
하드렌즈 1년? 정도 쓰다 보니 오후쯤 되면 뿌옇게 되는 것이 잘 안보이더라구요.. ㅠ
이건 왜 그런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노안은 어찌 할 수가 없더군요.
붉은화살
LINK
#142765883
IP 122.♡.142.217
23-06-10 2023-06-10 18:47:51 / 수정일: 2023-06-10 18:49:09
·
제 아이들 둘 다 드림 렌즈를 한지 10년이 넘은거 같습니다. 큰 아이는 올해 고등학교를 졸업해서 내년쯤 라식을 해 주려고 하는데...하드렌즈가 더 좋은 선택지라 생각하시나요? 드림 렌즈를 오랫동안 해 와서 끼는데 불편해 하지는 않을거 같은데...렌즈 부착술도 있던데..선택지가 여러개라 고민 되네요. 하드렌즈 낀 상태에서 깨지거나 하면 큰일 날거 같은데..눈에 상처내는 재질은 아닌지도 궁금하네요.
이금기굴소스
LINK
#142766621
IP 1.♡.96.11
23-06-10 2023-06-10 19:50:16 / 수정일: 2023-06-10 19:51:02
·
@붉은화살님 렌즈 삽입술은 제가 알기로 라식/라섹보다 위험성이 더 높은 걸로 알아서.. 잘 알아보시는 게 좋을 거 같습니다

저는 드림렌즈는 안 써봐서 잘 모르겠지만, 라식의 경우 수술 과정에서 생기는 각막의 절개부가 회복되는 것이 아니라 계속 절개된 상태로 남는다는 것이 심리적인 거부감으로 다가왔습니다

그리고 주변에서 라식을 하고 안구건조가 오고 야간 빛번짐이 생긴 사례도 봐서 가급적 라식은 하고 싶지 않더라구요. 라식한 사람들은 안경을 벗는다는 장점이 그 단점을 다 상쇄한다 느끼는 거 같던데, 저는 하드렌즈가 이미 제 몸처럼 느껴져서 그냥 렌즈를 끼는 게 낫다 생각했습니다.

렌즈가 플라스틱이라서 유리처럼 막 산산조각나고 그런 재질은 아니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위험성은 있겠죠.
buzz
LINK
#142766100
IP 39.♡.46.133
23-06-10 2023-06-10 19:06:13
·
소프트렌즈 25년차 입니다.
중간 1년반 정도 눈에 좋다 해서 하드렌즈를 써봣는데, 눈에 안맞아서 한번 교체 총 2개를 싸봤죠.
다른건 몰라도 눈 깜빡일때마다 시야가 흔들리는, 렌즈가 눈에 딱 붙어있지못하고 흔들리는 증상 때문에 너무 힘들었습니다.
결국 세수중에 개수대 흘러들어가 버리고, 그 이후로는 소프트1년착용 렌즈, 6개월 착용렌즈..그러다 30살 즈음엔 3개월 착용렌즈도 새로 사고 한달만 지나도 눈 가렵고 관리가 어려워 착용이 쉽지 않더라고요.
누가 원데이 추천해줘서 그때부터 조금씩 종류는 다르지만 원데이로 13년째 쓰고 있습니다.

슬슬 노안이 오려하는 지금은
라식 안하고 밖에선 렌즈착용, 실내에선 안경착용 + 스마트폰 안경벗고 사용하는 것으로도 만족합니다. 40즈음에 라식한 형님 노안때문에 돋보기 쓰고 ,멀리보는 시야도 처음만 못하다고 하시더라고요.
Pythonista
LINK
#142766341
IP 115.♡.67.106
23-06-10 2023-06-10 19:29:01 / 수정일: 2023-06-10 19:38:02
·
학생 시절 하드렌즈 3년을 썼는데도 적응을 못했는데 이렇게 적응을 잘하고 계시는 분이 있다니 신기하네요.
저도 고도난시인데 요즘은 워터렌즈급 원데이 렌즈를 씁니다.
오래 착용했을 때 조금은 건조한 것 빼고는 크게 불편함을 못느끼겠네요.

하드렌즈 썼을 땐 맨날 떨어져서 바닥을 손으로 훑고.. 단백질 세척하고 그랬던게 참 힘들었던 것 같아요.

잠깐 최고의 하드렌즈를 찾아 방황했던 경험이 떠오르는데, 내 눈에 맞는 렌즈를 잘 찾아주시는 안경사 (?)분을 잘 만나는게 중요하다고 하더라구요. 잘 맞는 렌즈를 찾으셨다니 부럽고 축하드립니다.

+ 제가 착용했던 렌즈를 검색하니 아직도 판매가 되고 있네요. ㅋㅋ 네온 프라임이라는 렌즈를 썼었습니다.
밀가루인형
LINK
#142770621
IP 1.♡.57.215
23-06-11 2023-06-11 01:05:54
·
@Pythonista님 워터렌즈급 원데이 난시렌즈라니 어떤렌즈인지 궁금합니다. 제가 지금 워터렌즈 쓰는데 다른건 불편해서 그냥 난시교정없이 쓰고있거든요.
뚜찌-zXie
LINK
#142766516
IP 121.♡.98.133
23-06-10 2023-06-10 19:43:22
·
웨이트(보디빌딩)만 하는데 하드렌즈 빼고 해야할까요?
하드렌즈 한번 맞춰볼까 생각중이거든요.
이금기굴소스
LINK
#142766632
IP 1.♡.96.11
23-06-10 2023-06-10 19:51:29
·
@뚜찌-zXie님 웨이트는 큰 문제 없을 거 같기는 합니다만..
뚜찌-zXie
LINK
#142766659
IP 223.♡.173.209
23-06-10 2023-06-10 19:53:19
·
@이금기굴소스님 하드렌즈 맞춰보고 싶은데, 가격이 문제가 아니라
적응 못할까봐 너무 두렵더라구요..ㅠ 한 20~30만원 깨지는건 뭐 에어팟 한대 산다 치면 되지만요 ㅠㅜ
이금기굴소스
LINK
#142766698
IP 1.♡.96.11
23-06-10 2023-06-10 19:56:42
·
@뚜찌-zXie님 딱 며칠만 버티면 그 이후론 심한 고통은 사라지실 거고, 거기서 몇주까지 버티실 수 있으면 적응은 끝날 거라 생각합니다.

다른 분들 의견과 마찬가지로 하드렌즈는 처음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급적 하드렌즈 경험이 풍부한 안과/안경점으로 가시는 게 시행착오를 줄이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에요.
뚜찌-zXie
LINK
#142766744
IP 223.♡.173.209
23-06-10 2023-06-10 20:00:07
·
@이금기굴소스님 흐음.. 다비치 안경 갈까 했는데

그냥 단골이였던 안경점을 가야하나 ㅠ 무섭네요 ㅠ
알베르트
LINK
#142766648
IP 58.♡.37.236
23-06-10 2023-06-10 19:52:21
·
하드렌즈는 강남의 큰 안과에서 검진 받고 구매하고 있습니다.
안경점보다는 곡률등 여러가지 꼼꼼하게 볼 수 있고 가격도 큰 차이 없습니다.
arbert
LINK
#142766712
IP 219.♡.229.32
23-06-10 2023-06-10 19:57:25
·
@알베르트님 원데이 렌즈만 써봤는데 주변 쓰는 사람이 꽤 있더라고요. 공막렌즈…라는것도 있던데 다음에 한국 방문 할때 맞추려고 생각중입니다.
혹시 알베르트 님께서는 어디 안과에서 맞추셨는지 쪽지로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이금기굴소스
LINK
#142766727
IP 1.♡.96.11
23-06-10 2023-06-10 19:58:49
·
@arbert님 공막렌즈가 뭔가 해서 찾아보니 하드렌즈로 나온 서클렌즈네요. 굳이 미용목적이 아니시라면 RGP투명렌즈로 가시는 게 좋다 생각합니다.
arbert
LINK
#142766788
IP 219.♡.229.32
23-06-10 2023-06-10 20:03:19
·
@이금기굴소스님 미용 렌즈도 있는 것 같기는 한데 고도근시인 분들은 공막렌즈 쓰시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물론 흰자위에 붙는 방식이고 식염수나 인공눈물이 없으면 착용할 수 없다는 점이 문제이긴 합니다만 안경을 벗고도 잘 보고 싶다는 마음은 누구나 똑같은것 같더라고요.
레이맥
LINK
#142766684
IP 106.♡.128.210
23-06-10 2023-06-10 19:55:07
·
3개월 끼고도 이물감이 심해서 포기한 기억이 있네요
이금기굴소스
LINK
#142766734
IP 1.♡.96.11
23-06-10 2023-06-10 19:59:04
·
@레이맥님 하드렌즈 적응 난이도가 상당하긴 하죠 ㅠㅠ
믿음행복
LINK
#142767115
IP 222.♡.2.1
23-06-10 2023-06-10 20:29:54
·
오랫만에 보는 하드렌즈에 대한 긍정적인 후기네요
하드렌즈 진입장벽이 높죠 가격도 높고 초기 착용감도 안좋구요
아마 난시가 많고 고도수 인거 같은데요
특히 난시가 많은 분들에게 특화되어 있는 렌즈라고 생각합니다
요즘은 원데이나 한달 제품들의 가격이 많이 내려가서 더 하드렌즈의 매력이 떨어지는것으로 추정됩니다
사람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맞는 제품이 달라서 나에게 잘맞는다고 남에게도 잘맞는게 아닐수도 있구요
사람들이 소프트 그리고 원데이를 많이 사용하는데는 이유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재미있게 글잘봤습니다
슈애
LINK
#142767224
IP 119.♡.226.71
23-06-10 2023-06-10 20:39:40
·
하드렌즈를 잘 착용 하신다니 신기하네요 ㅎㅎ
저는 7-8년 정도 소프트렌즈를 착용하다가 안구건조가 너무너무 심해져서 더이상 소프트를 낄 수 없다는 진단을 받고 하드렌즈로 넘어 갔는데 이물감은 견딜만 했지만 이미 안구가 너무 건조해져서 눈을 깜빡이면 하드렌즈가 튀어 나가는 상황 이었습니다.
한달에 세개를 (하나는 세척하다가 빠직, 두개는 눈에서 튀어나가서 분실) 구입하고 나니 감당이 안돼서 라섹을 해버렸습니다. 안경으로 돌아가고 싶지도 않고 렌즈로 돌아가고 싶지도 않습니다. ㅜㅜ
kikicolor
LINK
#142767504
IP 59.♡.23.159
23-06-10 2023-06-10 21:05:56
·
소프트렌즈 오래낀사람이 하드랜즈 적응하기가 더 힘든거같아요 전 결국 라식을했어요 ㅋㅋ
neopage
LINK
#142767668
IP 161.♡.152.101
23-06-10 2023-06-10 21:20:10 / 수정일: 2023-06-11 09:38:34
·
1~2번 단점 많이 들어서 시도도 못해봤네요.
그나마 제 눈에 잘맞는 쿠@@전에 정착했어요.
건조함아 저에겐 제일 덜하더라구요.
squat
LINK
#142767716
IP 222.♡.82.126
23-06-10 2023-06-10 21:23:21
·
하드렌즈 오래 사용하다가 원데이로 왔습니다. 원데이가 난시 교정이 안되서 불편한 부분이 있긴 하지만 하드렌즈는 먼지가 들어갔을 때의 불편함. 그리고 가끔 눈안에서 돌아가는 경우도 있고, 또 눈이 갑자기 확 아파지는 경우도 있어서 바꿨는데요. 소프트렌즈인 원데이가 확실히 착용감이 우수한 편이고요. 요즘 꽤 장시간 써도 눈에 큰 불편함도 없고요. 딱 한가지 문제는 난시교정이 안된다는거 그래서 어두운 곳에가면 흐려지는 느낌이 크다는 거 말곤 하드보단 원데이가 좋더라고요. 그런데 가끔 난시로 흐리게 보일 때는 하드로 가고 싶어지긴 합니다.
애플농장주
LINK
#142769934
IP 59.♡.183.3
23-06-10 2023-06-10 23:54:25
·
@squat님 아큐브 원데이 난시용 있더라고요. 일반용보다 조금 비싸긴 하지만요. 담에 써 볼까 생각 중입니다.
squat
LINK
#142775670
IP 222.♡.82.126
23-06-11 2023-06-11 14:42:04
·
@애플농장주님 초고도 근시라서... 제 눈에 안맞더라고요 ^^;;;
avastin
LINK
#142767998
IP 223.♡.150.23
23-06-10 2023-06-10 21:41:25
·
안과의사인데요 렌즈는 항상 세균,진균,아메바 감염 각막궤양의 위험이 있고 경우에 따라서 실명하거나 안구적출까지 하는경우도 있는데 위험성을 알고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올오브
LINK
#142768296
IP 106.♡.195.119
23-06-10 2023-06-10 21:57:48
·
@avastin님 저 각막궤양으로 안구에 상처가 남았습니다 이 경우 수술은 영구적으로 안되는게 맞나요?
올오브
LINK
#142768276
IP 106.♡.195.119
23-06-10 2023-06-10 21:57:04
·
도저히 적응안되서 소프트를 못놓고 있네요
롹!
LINK
#142768420
IP 121.♡.185.191
23-06-10 2023-06-10 22:06:11
·
소프트 렌즈도 한번 써보니 이물감이 장난 아니라서 적응 못했는데 하드는 엄두도 안나는군요..
게다가 초고도 난시 근시 라서 더더욱 ㅠㅠ
칼쓰뎅
LINK
#142768525
IP 119.♡.210.192
23-06-10 2023-06-10 22:13:36
·
소프트도 난시덕분에 적응불가. 하드렌즈도ㅜ적응불가. 돈만 날리고 안경썼었네요 ㅋㅋ 안경이 젤 편한거 같아요... ㅋㅋ
스웨디쉬베리
LINK
#142768533
IP 218.♡.106.25
23-06-10 2023-06-10 22:13:52
·
RGP렌즈 좋죠...
저는 처음 렌즈맞출때 다니던 안과에서 맞췄어요
소프트렌즈는 눈에 안좋다고 추천안하더라고요
노블이터
LINK
#142768802
IP 61.♡.74.169
23-06-10 2023-06-10 22:33:22
·
비용생각하면 수술이 괜찮은거 같아서 결국 라섹했는데 만족스럽더군요 안경/렌즈안쓰는사람은 축복입니다. ㄷㄷ
leonis04
LINK
#142768887
IP 223.♡.180.87
23-06-10 2023-06-10 22:37:47
·
하드렌즈 장기간 착용하실수 있는 점은 복받으신겁니다.
저는 6-7시간 착용하면 눈에 피로감이 너무 심해져서 지금은 그냥 착용스안하고 있습니다ㅠ
DDOLMO
LINK
#142768969
IP 221.♡.227.56
23-06-10 2023-06-10 22:42:35
·
이 글을 읽고 세어보니... 하드렌즈 20년차네요...
아... 세월 참 ㅠㅠ
leonis04
LINK
#142768973
IP 223.♡.180.129
23-06-10 2023-06-10 22:43:00
·
하나 만 더 적을께요
혹시 라식이나 라섹하신분들은 관리 잘하시길 바랍니다
눈 절대 비비시 마시고 인공눈물.잘넣으시길 바랍니다
저는 관리를 소홀히 해서 원추각막이라는 질환을 얻었습니다
절대 눈 비비지 마세요
MentalisT
LINK
#142769583
IP 223.♡.216.102
23-06-10 2023-06-10 23:25:54
·
소프트 렌즈도 사놓고 잘 안쓰는데 하드렌즈는 ㅠㅠ 시도조차 못할거 같습니다. 저같이 밖에 오래 있는 사람들은 더 그렇겠됴.
애플농장주
LINK
#142769943
IP 59.♡.183.3
23-06-10 2023-06-10 23:56:00
·
전 원데이 렌즈 운동할 때만 가끔씩 끼는데 난시 교정이 안 되는 거라 그런지 컴터 같은 거 볼 때는 좀 불편하더군요. 담에는 난시용으로 사 볼까 하는데 소프트 렌즈는 난시 기능이 있어도 교정이 잘 안 되나보죠? 가격이 좀 비싸도 잘 보이면 사 볼까 했었는데...
카슈밀
LINK
#142770023
IP 211.♡.129.84
23-06-11 2023-06-11 00:01:39
·
소프트 렌즈 저수율 알콘 데일리 토탈원 쓰는데, 이것도 기름샘 막히면 좀 눈이 심각하게 아프더라구요.
해당 문제로 하드렌즈도 한번 알아봐야겠군요.
옛날군만두
LINK
#142770216
IP 110.♡.183.2
23-06-11 2023-06-11 00:21:03 / 수정일: 2023-06-11 00:30:25
·
소프트 3년쯤 끼다 편하니까 낀것도 까먹고 술먹고 잘때도 끼고자기도하고 .. 보관도 잘못했었는지... 각막에 상처나서 세상이 뿌옇게 보인후 눈을 못뜨겠더라구요. 이후 안과가서 2주쯤 치료받았고
안보이는것에 대한 엄청난 공포를 겸험한 후.....라식은 언감생신 겁나서 생각도 해보지 않았고
외모보단 눈알이 더 중요하다!!! 안경쓰기 시작했는데
안경도 자기 얼굴에 맞는걸 계속 찾다보니 얼추 괜찮은게 있더군요. 그래도 안쓰는게 무엇보다 좋겠지만.
제가 20대때 이 글을 읽을수 있었다면 좋았을것 같네요.
그럼 하드렌즈 생각을 했을텐데...대부분 사람들이 안쓰니 도전할 생각도 안했네요. 스프트렌즈 각막에 건조감 주는거 정말 무서워요.
쟘스
LINK
#142771902
IP 175.♡.90.247
23-06-11 2023-06-11 07:55:05
·
하드렌즈 맞추고 일주일 고생고생하고 쓰다가...
렌즈가 어느 순간 빠져서 어 어딨지 했는데
제 구두 밑에 뽀각 소리가 났고 그 뒤로 안경으로 복귀했어요 엉엉... 돈 많이 아끼던 사회초년생 시절이어서 너무 서러웠습니다.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이미지 최대 업로드 용량 15 MB / 업로드 가능 확장자 jpg,gif,png,jpeg
지나치게 큰 이미지의 크기는 조정될 수 있습니다.
목록으로
글쓰기
글쓰기
목록으로 댓글보기 이전글 다음글
아이디·비번 찾기 회원가입
OTP 앱 인증코드
인증코드를 받지 못하는 경우
GIF 파일 다운로드
0 0 0 0
GIF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려면
화면에 표시된 4자리 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 주소복사